Jenkins local install [1]
데브옵스 기본중의 하나인 젠킨스에 대해서 제로부터 내 힘으로 구축을 해보고자 한다.
시작은 쉽게 도커로
https://hub.docker.com/_/jenkins
jenkins - Official Image | Docker Hub
DEPRECATION NOTICE This image has been deprecated for over 2 years in favor of the jenkins/jenkins:lts image provided and maintained by the Jenkins Community as part of the project's release process. The images found here have not received updates for over
hub.docker.com
필요한 명령어는
docker run -p 8080:8080 -p 50000:50000 -v /your/home:/var/jenkins_home jenkins
8080:8080 // local 머신의 8080 포트로 접속해서 가상머신의 8080로 연결
50000:50000 // master/slave 커뮤니케이션
-v //볼륨 옵션
터미널에서 보다보면 패스워드가 생성된다. 제일 처음에 젠킨스를 성공적으로 인스톨후 어드민 비번을 물어볼때 저 부분을 복사해서 붙여넣기 하면 된다. 추후에 어드민 어카운트를 생성할 것이냐고 물어보는데 그때 어드민 어카운트 생성하고 휴먼친화적 비번을 생성하면된다.
뉴 아이템을 클릭
- Freestyle Project
간단한 작업. ex) run tests
- Pipeline
하나의 브랜치를 위한 전체 개발 싸이클
ex) test | build | ...
- Multibranch Pipeline
여러 브랜치를 위한 파이프라인. 현업에서 쓰이는 거
New Item 생성 메뉴 밑에 Manage Jenkins가 있다. 여기 가면 플러그인 등을 설치할 수 있다.